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텔레그램 #가해자처벌 #청원동의 #n번방 #박사방
- 배달의 명수 #배달의 민족
- 5G #5G단점 #5G 4G
- 오거돈 #부산시장 #오거돈시장 성추행 #오거돈 사퇴
- BCG # 불주사 # 코로나 불주사
- 금융IT #코스콤 #금융보안원 #금융경제연구소
- 코로나19 #복수 여권 #교통비할인
- Today
- Total
목록자료구조 (3)
nul-problog
큐는 스택과 함께 언급되고 또 비교되는 자료구조이다. 스택은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나중에 나오는 구조인 반면, 큐는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구조이다. 이것이 스택과 큐의 유일한차이! 이렇듯 큐는 '선입선출' 구조의 자료구조 이다. 영어로는 'FIFO(Fistr in , First out)' 구조 스택에서는 가장 최근 데이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top변수를 사용하였다. 큐에서는 입구와 출구가 따로 있기 때문에 앞과 뒤를 의미하는 front와 back(원형 큐에서는 rear)을 사용한다. - 큐의 핵심 연산 1) enqueue(x) : 큐에 데이터를 넣는 연산, 주어진 요소 x를 큐의 맨뒤에 추가한다. 2) dequeue() : 큐가 비어있지 않으면 맨앞에 있는 요소를 삭제하고 반환한다. - ..
스택은 나중에 들어가것이 먼저 나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'후입선출'방식의 자료구조 라고 하며, 영어로는 LIFO(Last in First out) 형식의 자료구조라고도 불림. - 스택의 연산 시작하기전 마지막 데이터가 스택에 어느 위치에 잇는지 기억하기 위해 top이라는 변수를 만든다. 삽일을 한다면 top +1이 됩니다. 1) pop: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항목을 제거 한다. 스택은 LIFO라고 했으니까 가장 최근에 추가한 항목이 가장 먼저 제거될 항목이다. pop을 하기 된다면 top의 위치는 -1 2) push: 데이터 하나를 스택의 가장 윗 부분에 추가한다. top +1 3) peek: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항목을 반환한다. 마지막 위치(top)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읽어준다. 이때 top의 변..
자료구조에서 리스트는 구현방법에 따라서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. 1) 순차(선형) 리스트 : 배열을 기반으로 구현된 리스트 2) 연결리스트 : 메모리 동적 할당을 기반으로 구현된 리스트 1. 선형리스트 (Linear List) · 순차 리스트(Ordered List) 프로그래밍으로 선형리스트를 표현하고자 한다면! 로 구성 된 배열 'Array'를 사용 - 리스트에 나열한 데이터들이 일정한 순서를 가지고 있다. - 우리가 표현하는 논리적인 순서와 실제 메모리상에 저장되는 물리적인 순서가 동일하다. -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고, 인덱스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나 삽입, 삭제가 되는 경우에는 순서를 다시 갱신해줘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이동이 필요하여 오버헤드(overhead)가 발생할 수 있다. - 신규..